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프로그램112

Tibero 접속방법 오라클인줄 알고 갔던 고객사....ps로 오라클 기동상태를 확인하였는데 없어서 깜짝놀래서 당황했었다..알고 보니 Tibero를 사용중....생전 처음보는 거라서 접속 방법또한 몰랐다....Tibero 접속 방법su - tiberotbsql 아이디/비번 기동#tbboot 다운#tbdown 2015. 3. 31.
비밀번호 관련 자바스크립트 비밀번호영문자 대소문자 포함등등을 체크하는 스크립트. function checkPassword() {var strNew_Pwd = document.insertForm.passwd1.value;if ( != null ) {if ( strNew_Pwd.length < parseInt() ) {alert("패스워드는 영문대소문자, 숫자, 특수문자를 최소한 하나씩 포함하여 8자리 이상 20자리 까지 입력 하세요.");return false;}}if ( != null ) {var alpha = 0;for ( var i=0; i= 65 && strNew_Pwd.charCodeAt(i) = 97 && strNew_Pwd.charCodeAt(i) 90 && strNew_Pwd.charCodeAt(i) < .. 2015. 3. 25.
리눅스 FTP 사용 어제 출장가서 FTP를 사용하여 파일을 주고 받았다....그리고 오늘 회사에 나와서 좀더 인터넷을 찾아보고 이 글을 작성...일단 FTP가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을수도 있기 떄문에 yum 명령어로 설치.yum -y install ftpftp를 설치 했다면 ftp IP주소 를 입력하여 connect 한다.connect 했다면 ls와 cd 명령어를 입력하여서 원하는 파일이 있는 대상경로로 이동.bin, ha 를 차례대로 입력한 뒤 get 파일명을 입력하면 파일을 받아올수 있다. - get 단일 파일 전송(수신) - put 단일 파일 전송(송신) - mget 복수 파일 전송(수신) - mput 복수 파일 전송(송신) - ha(sh) 전송시 hash prompt(#) 출력 - bi(n) binary mode 전송.. 2015. 3. 13.
오라클 기동 및 UNDOTBS exist error? 서버 재부팅시 꼭 오라클을 종료하고 다시 실행시켜 줄것....!기동종료를 안하고 시작됬다가 실직자 될뻔 했다는 썰.....일단 서버에서 oracle로 계정전환(su - oracle)그 후 리스너를 종료한다.(lsnrctl stop)그후 디비종료를 실행해준다.과정은 오라클 계정에서 sqlplus /nolog -> conn /as sysdba -> shutdown immdiate;서버 재기동후 디비를 먼저 시작해 줘야한다.su - oracle -> sqlplus /nolog ->startup로그를 보고 실행이 확인이되면 exit로 sqlplus를 종료 후 리스너를 실행시켜 준다lsnrctl start 실행이 정확하게 됫다 싶으면 lsnrctl status로 실행상태를 확인해 본다. --------------.. 2015. 2. 25.
작업 스케줄러 관련 빌어먹을 작업스케줄러 셋팅방법이다... 1. 시작 -> 관리도구 -> 작업 스케줄러 실행 2. 메뉴-> 동작 -> 기본작업 만들기 클릭 3. 이름 입력 -> 다음 클릭 4. 트리거에서 ‘컴퓨터 시작시’ 클릭 -> 다음 클릭 5. 작업에서 ‘프로그램 시작’ 클릭 -> 다음 클릭 6. 프로그램/스크립트에 경로 입력 7. 입력 내용을 확인 후 마침버튼을 클릭 8. 새로고침 클릭 -> 생성된 스케줄러 더블클릭 9. 클릭한 스케줄러 마우스 우측 클릭 -> 실행 클릭 10. 실행한 스케줄러 상태가 실행으로 변경되면 정상동작 2015. 2. 6.
네트워크 계층 계층 1: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물리 계층은 실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적, 물리적 세부 사항들을 정의한다. 예를 들어, 핀들의 배치나 전압, 전선의 명세 등이 이 계층에 포함된다. 허브(리피터)가 물리 계층의 장치이다. 기계적 구조와 전기적 특성을 규정한다. 물리 계층에서 수행되는 중요한 일들은 다음과 같다.한마디로 연결되어 있는 랜선등을 말하는것이다. 계층 2: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데이터 링크 계층은 포인트 투 포인트(Point to Point) 간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CRC 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가 필요하다. 네트워크 위의 개체들 간 데이터를 전달하고,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아 내고, 수정하는 데 .. 2015. 2. 3.
반응형